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21건)

광주시립미술관, 서른살의 전시
광주시립미술관이 서른살의 나이를 먹었다. 미술관 30년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시가 마련되어 광주미술의 회상과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자리라고 보여진다.같은 기간 중 2022년 하반기 광주시립미술관 30주년 기념전 ≪이건희컬렉션전≫, ≪권진규전≫이 함께 개최된다. 우리나라 공립미술관 최초로 1992년 8월 1
김대현 -무등산 한시 111편
무등산한시선무등산에 대한 한시를 옛 문헌 속에서 찾아내어, 시대 순으로 편집하고 번역한 책이다. 우리나라 스물 두 번 째 국립공원인 무등산은 남쪽 지방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예로부터 수많은 사람들이 탐방하고 있다.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의 시문집에서부터 현대 의재 허백련의 시문집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옛 문
정인서 원장, 광주혼을 빛낸 역사인물들의 행적 기록
광주정신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친 인물들의 미시사를 옛 문헌에서 찾아 정리해 지역 역사문화자원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책이 나왔다.정인서 광주 서구문화원장은 최근 광주시와 광주문화재단의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의 하나로 광주정신을 만들어온 옛 사람들의 이야기를 찾아 정리한 《광주풍경2: 푸른 역사 뒤에
“광주미래는 과거 되짚어보고 현재 기억할 때 가능해”
“지난 500년, 1천년의 역사 속에서 광주가 얼마나 중요했던 곳인가!” 광주 서구문화원이 마련한 2021문화유산아카데미 7월 강좌 연사로 나선 조상열 대동문화재단 대표가 화두로 내건 첫 마디였다.우리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역문화의 올바른 가치정립을 위해 ‘역사 속의 광주와 광주사람’이라는 주제로 26일 초청된
이건희 컬렉션, 광주 30점, 전남 21점 소장품 기증
삼성그룹 고 이건희 회장의 미술컬렉션이 전국 미술관으로 기증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립미술관과 전남도립미술관에도 지역 연고 작가들의 작품이 기증되어 관심이 쏠린다.기증작은 광주의 경우 김환기, 오지호, 이응노, 이중섭, 임직순 작가의 작품 30점, 전남의 경우 허백련, 오지호, 김환기, 천경자, 김은호, 유영국, 임
허백련(許百鍊 ; 1891~1977)
허백련(許百鍊 ; 1891~1977)은 진도 출신으로 한국 근․ 현대 회화사에서 전통적 형식의 남종화풍(南宗畵風)을 전승한 화가이다. 호는 의재이다.  「계산청하」, 「산수 11경」, 「산수춘추」, 「달마 1」, 「하경」 등의 작품이 있다.조선시대 말기 남종화풍을 토착화 시켰던 소치(小癡) 허련(許鍊)(1809~1892년)
광주 전통문화관, 토요상설공연 등 지역 무형문화 산실 확장
광주광역시는 무형문화재의 전승‧교육 전용 지역문화시설인 전통문화관의 올해 사업을 확정하고 시민과 교감할 준비에 들어갔다.위드코로나 시대를 맞아 토요상설공연, 무등풍류뎐, 전통문화예술강좌와 체험, 무등울림축제 등 올해 사업들은 비대면까지 확대해 진행한다.주중에 만나는 전통문화예술강좌는 광주 무형문화재가
광주시, 2020년 문화예술상- 문학·미술·국악부문 5명 선정 시상
광주광역시는 17일 서구 치평동 라붐웨딩홀에서 ‘2020년 문화예술상 시상식’을 열고 문학, 미술 등 5개 부문에 선정된 5명에게 상패를 수여했다.올해 광주문화예술상은 ▲박용철 문학상에는 1976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을 시작으로 활발한 창작활동을 하고, 광주문화재단 초대 이사와 서구문화원장을 역임한 시인
화수정 花樹亭
남구 서오층석탑2길 15   광주공원 서쪽 오층석탑 윗쪽 아래의 도로가에 일제강점기 때 광주지역 당호로 비서승의 관직을 받은 사범士凡 임병룡(1846~ ?)이 주위의 권유에 의해 1927년 관덕정으로 건립했다. 원래는 활을 쏘는 사장射場이었으며, 후일 이 지역이 택지 개발되면서 사장의 기능을 더하지 못하게 되자 임
오방정(五放亭) / 춘설헌
광주광역시 동구 오방정(五放亭), 지금은 춘설헌으로 이름이 바뀐 집이다. 증심사와 약사사를 올라가는 길 등산로 산 기슭 오른편에 있는 건물이다. 기존의 정자와는 다른 방 두짜칸짜리 집과 같다.이곳은 독특한 사연이 있다. 기독교 목회자, 독립운동가, 교육가, 한센병환자 구호사업가였던 최흥종崔興琮(1880~1966)이
대환정 大歡亭 화수정 花樹亭
남구 서오층석탑2길 15 (광주공원)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남쪽 1리 정도의 거리에 있다. 일제강점기 때 광주지역 당호로 비서승秘書丞의 벼슬을 지낸 부호 사범士凡 임병룡(1846~ ?)이 1927년 정자를 지어 노인들의 유회소로 활용하였다. 별칭으로 관덕정이다. 당시 임병룡은 光州郡 不動坊面 社洞 4統3戶에 주소를 두
관풍대 觀風臺
동구 증심사길 150-12 (운림동)   무등산 증심사로 오르는 길 오른편에는 남종화의 대가로 불리는 의재 허백련(1891~1977)이 지인들과 함께 차를 마시며 '바람을 맞는다'는 공간이다. 한국화, 특히 남종화 대가인 의재 허백련(1891~1977)이 춘설헌春雪軒 본채만 지어 작품활동과 차 생산을 하며 머물렀다. 제자
광주시, ‘2019 광주광역시 문화예술상’ 7명 시상
광주광역시는 11일 ‘2019 광주광역시 문화예술상 시상식’을 열고 6개 부문에 선정된 7명에게 상패를 수여했다.광주시 문화예술상은 한국문학과 미술(한국화, 서양화), 국악 발전에 현저한 업적을 남긴 박용철, 김현승, 정소파, 허백련, 오지호, 임방울 선생의 숭고한 예술정신을 이어받아 문화예술의 창조적 발전에 공적이
광주시립미술관, '의재毅齋, 산이 되다'展 특강
한국화, 특히 남종화의 텃밭으로 광주를 예향이라는 이름을 얻게 한 한국화가 서양화에 밀려 설 자리를 잃고 있다.이런 가운데 광주시립미술관이 의재 허백련과 그의 제자 등 18명의 작품 40여명의 작품을 ‘의재毅齋, 산이 되다- 연진회로 이어진 의재 정신과 예술’전을 열고 있는 가운데 이선옥 의재미술관장을 초청해 ‘삶
613기의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담아
광주에는 아름답고 슬픈 그리고 충효열의 많은 이야기를 담은 비석과 같은 금석문이 얼마나 될까?광주문화원연합회(회장 오동오)는 김대현 전남대 교수와 정인서 광주 서구문화원장이 1차 조사한 613기의 목록을 발표했다. 가장 많은 비석은 송덕비로 160기, 이어 정려와 충효열비 116기, 유허비와 사적비 66기, 묘비와 신도
정인서 원장, 제로베이스 출발하는 광주혁신 위원으로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정인서 원장이 구태, 구습을 벗어나고 끊임없이 미래를 이끌어갈 광주혁신의 첨병이 될 시장 직속의 광주혁신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게 됐다. 정인서 원장은 그동안 문화도시 광주의 발전을 위해 남다른 아이디어를 담은 책을 지속적으로 발간하고 칼럼 등을 매주 언론을 통해 제시하면서 '문화예술&n
의재허백련선생상
광주시 동구 남문로 166(학동)이 의재허백련선생상은 학동삼거리 소공원에 있다. 광주 출신으로 한국화의 대가였던 의재 허백련 화백(毅齋 許百鍊, 1890-1977)의 동상이다. 허백련은 조선 후기 한국 남종화를 완성했던 허련의 후손으로, 허련의 아들 허형에게서 그림의 기본을 익히고, 일본과 서울에서 그림공부를
김대현 교수와 함께 읽는 '호남누정'
호남의 대표적인 정자 현판을 읽어보는 강좌가 마련됐다.호남문헌연구소(소장 김대현 전남대교수)가 ‘누정에 가면 현판이 보이시나요?’를 주제로 한 누정현판읽기 강좌를 진행한다. 누정현판 강좌는 최초로 마련됐다.대상 누정은 면앙정 명옥헌 소쇄원 송강정 식영정 취가정 풍암정 환벽당 등 담양과 광주 무등산권 주요 누
유희춘-過柳林
千株蔽日蔭淸渠  해 가린 천 그루에 맑은 도랑 그늘지는데一夜蕭條斤斧餘  한 밤새에 쓸쓸하게 도끼 자국 남아있네安得栽培濡雨露  어찌하면 우로에 젖어 길러지게 하여 穹林他日鳳來居  훗날 우거진 숲에 봉황새 와서 살게 할까담양 연계정(漣溪亭)은 조선 중기 대사헌과 이조참판을 지낸 미암 유희춘
의재미술관, 6월 27일 '우리 그림 우리 가락 전통에 노닐다'
의재미술관에서는 6월 문화가 있는 날을 맞이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우리그림과 우리음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 운영을 갖는다.이 프로그램은 의재미술관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 문화적 특징인 예향 광주, 무등산, 남종화, 의재 허백련, 춘설차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우리문화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